글리벡 복용 암환자 4,000명에 약값 지원 중단_유튜버는 얼마나 벌어요_krvip

글리벡 복용 암환자 4,000명에 약값 지원 중단_메가세나 이기는 방법_krvip

국내에서 고가(高價)약 논란의 시초격인 혈액암치료제 '글리벡'의 약값 지원이 10년여만에 끝난다.

23일 보건복지부와 환자단체 등에 따르면 글리벡을 판매하는 스위스계 제약사 한국노바티스는 오는 7월부터 환자 본인부담금 지원을 중단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그동안 본임부담금 없이 글리벡을 복용하던 만성골수성백혈병, 만성호산구성백혈병 등 약 4천여명의 암환자들이 약값의 5%에 해당하는 본인부담금 월 14만∼20만원을 직접 내야 한다.

약값 지원 중단은 다음달 3일로 글리벡의 물질특허가 만료돼 복제약이 출시되기 때문이다. 특허가 만료되기 전까지는 경쟁 제품이 없으므로 회사의 지원이 문제되지 않았으나 동일 성분 복제약이 등장한 후 본인부담금 지원은 공정경쟁법령에 어긋난다.

한국노바티스는 최근 복지부와 환자단체들에 환자지원 프로그램 중단 계획을 설명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복제약이 병원 처방목록에 들어가는데까지 걸리는 시간을 고려해 회사가 7월에는 본인부담금 지원을 중단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전했다.

위장관기질종양(GIST) 치료제로서 글리벡의 특허는 아직 기간이 남아 있어 GIST 환자에 대한 지원은 계속될 것으로 알려졌다.

환자지원 프로그램은 2002년 글리벡 도입 당시 약값을 둘러싼 논란 가운데 시작됐다. 한 알에 2만3천45원이나 하는 약값을 두고 '고가 논란'이 계속되자 회사는 환자에게 약값의 일부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시행했고 정부는 이를 용인했다.

안기종 환자단체연합회 대표는 "당시 한국노바티스는 환자를 지원하는 대가로 원하는 약값을 받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 제도가 환자의 약값 부담을 덜어주기는 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부작용이 늘었다는게 복지부, 환자단체, 국내 제약업계의 판단이다.

글리벡을 쓰면 본인부담금이 없기 때문에 증세가 웬만큼 나빠지지 않고서는 의료진과 환자가 다른 약으로 바꾸지 않으려는 경향이 생겼다. 이에 따라 국내에선 효과가 더 우수한 후발 의약품의 처방이 잘 늘지 않았다. '포스트 글리벡' 또는 '슈퍼 글리벡'으로 분류되는 토종 신약이 시장에서 고전하고 있는 까닭도 글리벡 환자지원 프로그램과 무관치 않다는 것이다.

또 다국적 제약사들이 환자지원을 지렛대로 삼아 건강보험 약값을 높게 받아챙기는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 환자의 본인부담은 낮아지지만 결국 건강보험재정에서 나가는 약값은 커지게 된다.

환자단체들은 약값 지원 중단이 불가피하다는 점은 인정한다. 그러나 회사가 환자 지원을 이유로 더 많은 이익을 챙겼고 환자를 지원하겠다는 약속을 했으므로 다른 형태의 지원이나 사회공헌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글리벡 환자지원프로그램에는 연간 약 50억원이 드는 것으로 추정된다.

안기종 대표는 "환자지원 프로그램으로 회사는 여러 가지 이점을 누렸다"며 "약값 지원을 중단한다면 이로 인해 늘어나는 이익의 일부를 어떤 형태로든 환원해야 한다"고 요구했다.